반응형

EPS EarningPerShare : 주당 순이익.
EPS=당기순이익총발행주식수
PER PriceEarningRatio : 주가 순이익 비율.
PER=현재가EPS=현재가×총발행주식수당기순이익=싯가총액당기순이익
EY EarningsYield : 이익 수익. PER의 역수
EY=당기순이익싯가총액
BPS Book−valuePerShare : 주당 순자산가치. 청산가치
만일 기업이 청산한다면 기업의 자산을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주당 배당액.
BPS=기업의순자산총발행주식수
PBR PriceBook−valueRaio : 주가 순자산 비율
PBR=현재가BPS=싯가총액순자산
SPS SalesPerShare : 주당 매출
SPS=당기매출액총발행주식수
PSR PriceSalesRatio : 주가 매출 비율
PSR=현재가SPS=싯가총액당기매출
CPS Cash−flowperShare : 주당 현금흐름
기업의 현금흐름이 크다는 것은 미래를 위한 투자, 재무상태의 양호 등을 내포함.
CPS=현금흐름총발행주식수
PCS PriceCash−flowRatio : 주가 현금흐름 비율
PCS=현재가PCS=싯가총액현금흐름
PEG PriceEarningtoGrowthRatio : 주가 이익 성장률
저평가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기 위해 만든 식.
PEG=PEREPS증가율
어떤 주식의 PER 이 100이고, EPS가 매년 100% 증가한다면, 이 주식의 PEG는
PEG=100100=1
보통 PEG = 1 이면 정당하게 평가된 주식으로 판단하고. 1 보다 작으면 저평가로 판단한다.
EV/EBITDA : 이비에비타
- EV를 EBITDA로 나눈 것
- EV는 기업가치EnterpriseValue를 뜻한다. 기업가치는 시가총액에서 장부에 기재된 부채를 더하고, 기업이 보유한 현금을 빼면 구할 수 있다. 이는 곧 해당 기업을 인수할 때 얼마가 필요한지를 말해준다.
- EBITDA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 이익EarningsBeforeInterest,Tax,Depreciation,andAmortization'의 약자다. 영업이익operatingprofit을 또 다른 말로 EBIT라고 하는데, 여기에 감가상각비를 더 고려해 준 것.
그럼, EV를 EBITDA로 나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기업가치가 영업활동에서 얻은 이익의 몇 배라는 것은 곧 기업을 인수했을 때 몇 년만에 투자원금을 회수할 수 있느냐는 말이다. 삼성전자의 2009년 기준 EV/EBITDA는 8.4인데 이는 삼성전자를 인수하면 8.4년 만에 투자한 돈을 모두 회수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반면 올해 예상 EV/EBITDA는 5.5년인데 이는 삼성전자의 올해 실적이 많이 늘어나면서 그만큼 투자원금 회수 기간이 짧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EV/EBITDA가 낮으면 그만큼 기업이 저평가 돼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주가수익비율PER과 비슷하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으로, 주식 1주를 샀을 때 몇 년 만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로 해석할 수 있다. 2009년 기준 삼성전자의 PER이 14.1이라면 80만원으로 삼성전자 주식 1주를 샀을 때 이 80만원을 삼성전자의 순이익으로 돌려받기까지 14.1년이 걸린다는 말이다.
반응형
'주식|증권 > 주식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 알고리즘 : 언제나 수익나는 매매기법 0 | 2021.09.28 |
---|---|
기업 재무지표 딱 이것만 보자! EPS,PER,EY,PEG 0 | 2021.01.17 |
지금, 주식투자해도 될까요? 주린이주식투자법 2 | 2021.01.13 |
주식 토막상식 : 공매도 0 | 2021.01.07 |
투자방식에 따른 수익률 비교 2 | 2020.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