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턴트7 과 디미니쉬
음악의 장음계에서 주요 3화음을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 라고 하는데 이는 각각 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이다. 화음 진행에서 도미넌트에서 토닉으로 돌아올 때 도미넌트는 주로 도미넌트7으로 대치된다. 예를들어 C장조에서 음악이 끝날 때 주로 G7 -> C로 진행한다. G7 화음은 솔, 시, 레, 파로 구성되는데, G 화음의 구성요소인 솔, 시, 레에 파(G의 장7도음)가 추가된 것이다. 파가 추가됨으로써 분위기의 긴장감은 고조된다. 화음의 진행에서 음악적 단락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도미넌트에서 토닉으로 돌아가는 진행이 대부분이다. 이때 도미넌트7으로 긴장감을 극적으로 끌어올린다. 그런데 긴장감의 대명사 디미니쉬화음이 있다. 도미넌트7은 디미니쉬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G7에서 구성음 솔, 시,..
2022. 6. 4.
음정: 두 음 간 거리
기타 지판은 배우기 어렵다. 음의 배열이 1차원인 피아노와 달리 기타는 2차원 배열을 가진 지판 때문에 지판의 어떤 곳이 어떤 음을 내는지 초보자의 입장에서 알아내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니다. 기타의 지판을 빠른 속도로 배우기 위해서 가장 먼저 음정을 이해해야 한다. 두 음 간 거리를 칭하는 말 중 반음, 온음, 옥타브 등이 있다. 반음은 (미, 파) 또는 (시, 도) 음정을, 온음은 (도, 레), (레, 미), (파, 솔), (솔, 라), (라, 시) 음정을 말한다. 음정을 이르는 말은 그 외에도 화성학에서 장2도, 단3도, 완전4도 등 정해진 명칭들이 있는데 이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음정을 이르는 말은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와 두 음의 차이를 나타내는 숫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를들어, 단2도는 성질을 ..
2022. 5. 29.
함수의 가변인자 와 *(별표)연산자
def test(*args, **kwargs): print(args) print(kwargs) test(1,2,3, temp=23, ttemp=45) (1, 2, 3) {'temp': 23, 'ttemp': 45} 어떤 함수의 인자(parameters)를 특정지을 수 없을 때 *를 포함한 변수명으로 받을 수 있다. 위 예에서 함수 test 는 *args, **kwargs의 변수명으로 인자를 받는다. args는 arguments의 약자로, kwargs는 keyward arguments의 약자로 사용되었으나, 이름은 파이썬 문법이 허용하는 어떤 이름이든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별표하나 와 별표두개이다. 별표하나의 변수명 즉 *args로 전달되는 인자는 모든 위치형 인자(posit..
2022. 5. 14.